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오미크론 자가격리
- 시물레이션
- 2월공모주
- 공모주
- 공모주 청약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공부방법
- 머신러닝
- 알고리즘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요약정리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시험시간
- 현대엔지니어링
- 현대엔지니어링 수요예측
- DFS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독학
- 사이킷런
- 백준 알고리즘
- 백준
- 정렬
- 사회조사분석사 2급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접수
- 파이썬 정렬
- 공모주청약
- 사회조사분석사2급실기신청꿀팁
- 사회조사분석사2급실기신청
- 그리디
- 너비우선탐색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공부방법
- 벽부수고이동하기 파이썬
- 사회조사분석사 2급 기출문제집
- BFS
- Today
- Total
세상을 바꾸는 데이터
[백준 14888번] 연산자 끼워넣기 - 파이썬 본문
문제 링크: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888
14888번: 연산자 끼워넣기
첫째 줄에 수의 개수 N(2 ≤ N ≤ 11)가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A1, A2, ..., AN이 주어진다. (1 ≤ Ai ≤ 100) 셋째 줄에는 합이 N-1인 4개의 정수가 주어지는데, 차례대로 덧셈(+)의 개수, 뺄셈(-)의 개수,
www.acmicpc.net
풀이 유형:
브루트포스 알고리즘, 백트래킹, 깊이 우선 탐색, 너비 우선 탐색
풀이 과정:
이 문제의 풀이 과정은 2가지가 있다.
★ 첫 번째 방법은 필자가 풀은 방법인 순열 라이브러리와 BFS를 이용한 방법이다.
먼저 연산자의 기호들을 차례대로 받아 순열을 이용해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여 큐에 삽입한다.
(예를 들어 '+', '-', '+', 'x' 4가지 연산자가 있다면 24가지(=4!) 경우의 수를 모두 비교한다.)
이후에 완전탐색을 이용해 큐에서 하나씩 꺼내어 계산하고 이를 최댓값과 최솟값과 비교 후 값을 업데이트해준다.
이 방법의 단점은 시간 복잡도가 많이 소요되므로 PyPy3에서만 성공이 되고, Python3에서는 시간 초과가 뜬다.
★★ 두 번째 방법은 파이썬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DFS로만 푸는 방법이다.
DFS로 이용하는 방법은 첫 번째 방법보다 시간복잡도가 훨씬 낮으며, 모범 답안에 속한다.
DFS 매서드 함수에 입력받은 수열의 개수만큼 계속 반복해서 재귀적으로 함수를 수행하면 된다.
첫 번째 줄의 메모리와 시간은 두 번째 방법인 DFS를 이용한 방법이며. 시간은 112ms로 Python3에서 원활하게 작동된다.
반면 두 번째 줄의 순열과 BFS를 이용한 방법은 PyPy3에서만 작동되며, 시간복잡도가 2888ms로 상당히 많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.
풀이 코드:
첫 번째 방법: 순열과 BFS 이용
# 14888번 연산자 끼워 놓기
# 파이썬에서의 순열 라이브러리 이용
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n = int(input())
seq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연산자
cal = ['+', '-', '*', '//']
# 연산자 입력받기
cal_inpu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cal_list = []
# 계산할 수 있는 연산자
for i in range(4):
# 특정 연산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패스
if cal_input[i] == 0:
pass
# 특정 연산자가 존재한다면 그 개수만큼 계산 리스트에 추가
else:
for j in range(cal_input[i]):
cal_list.append(cal[i])
# 만들 수 있는 모든 연산자 배열의 경우의 수
num_case = list(permutations(cal_list, len(cal_list)))
q = deque(num_case)
# 최댓값, 최솟값 초기화
max_result = -1e9
min_result = 1e9
# 큐가 빌 때까지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연산 수행
while q:
# 연산자들에 대하여
now_list = q.popleft()
result = seq[0]
# 차례로 연산 수행
for i in range(1, len(seq)):
# 연산자가 더하기라면
if now_list[i-1] == '+':
result += seq[i]
# 연산자가 빼기라면
elif now_list[i-1] == '-':
result -= seq[i]
# 연산자가 곱하기라면
elif now_list[i-1] == '*':
result *= seq[i]
# 연산자가 나누기라면
else:
if result < 0:
result = -(abs(result) // seq[i])
else:
result = result // seq[i]
# 최댓값, 최솟값 계산
max_result = max(max_result, result)
min_result = min(min_result, result)
# 결과 출력
print(max_result)
print(min_result)
두 번째 방법: DFS 이용
# 14888번 연산자 끼워 놓기
# dfs 이용
# 수의 개수 입력받기
n = int(input())
# 수열 입력받기
dat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# 연산자 개수 계산
add, sub, mul, div = map(int, input().split())
# 최댓값과 최솟값 초기화
max_value = -1e9
min_value = 1e9
# dfs 매서드 정의
def dfs(i, arr):
global add, sub, mul, div, max_value, min_value
# 주어진 수열을 다 받았을 경우 최댓값과 최솟값 계산
if i == n:
max_value = max(max_value, arr)
min_value = min(min_value, arr)
else:
# 더하기
if add > 0:
add -= 1
dfs(i+1, arr + data[i])
add += 1
# 빼기
if sub > 0:
sub -= 1
dfs(i+1, arr - data[i])
sub += 1
# 곱하기
if mul > 0:
mul -= 1
dfs(i+1, arr * data[i])
mul += 1
# 나누기
if div > 0:
div -= 1
dfs(i+1, int(arr / data[i]))
div += 1
# DFS 메서드 호출
dfs(1, data[0])
# 최댓값과 최솟값 출력
print(max_value)
print(min_value)
'PS Study > BOJ(백준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9095번] 1, 2, 3 더하기 - 파이썬 (47) | 2022.02.21 |
---|---|
[백준 2529번] 부등호 - 파이썬 (28) | 2022.02.21 |
[백준 18405번] 경쟁적 전염 - 파이썬 (28) | 2022.02.15 |
[백준 14502번] 연구소 - 파이썬 (36) | 2022.02.14 |
[백준 18352번]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 - 파이썬 (33) | 2022.02.14 |